문서감정 분야 안내
1. 필적감정
필적감정은 두 가지 이상의 필적에서 각 개인마다 희소성과 항상성 등을 검토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검사방법은 목적물(문제가 되는 필적)과 대조물(대조할수 있는 필적)을 가지고 자연필과 위필 등을 검사 후
전체적인 필의 구성과 필습에 의한 직선적이고 곡선적인 필의 특성 및 필의 순서와 조형미, 필의 각도, 운필 상태
등을 관찰하고 필의 시작점과 끝나는 종필 처리부분, 필압 상태, 숙련과 미숙련의 차이 및 잠재습성 등을 면밀히 비교 분석합니다.


2. 인영감정
인영 감정은 최소 두 개 이상의 인영간의 대조(對照)로 비교 분석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인영 감정에 관하여 날인된 인영의 ¹위조(僞造) 여부, 인주(印朱)의 성분 분석 인주(印朱) 색상 인영의 날인(捺印) 년도 등도 인영감정에 포함됩니다.
문서 감정에 있어 그 근거 및 증거 자료는 원본 감정을 원칙으로 하나 원본이 없을 경우 사본으로도 감정을 시행하고 있으나 원본 감정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3. 지문감정
지문(指紋)은 보통 지두(指頭) 제1관절에 있는 피부 융선으로 형성된 문형을 나타내는 것을 말하며 지문(指紋)은 생후 3개월 때부터 시작해 이후 6개월부터는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범죄시 범죄자들은 고의적(故意的) 또는 자의적(恣意的)으로 지문(指紋)을 훼손(毁損)시키거나 변형(變形)시키려 하는 경우가 있는데, 훼손(毁損)되거나 변형(變形)시킨 지문(指紋) 또한 그 자체가 특이 문양의 고유한 지문(指紋)이 되어버린다. 이러한 지문 감정은 문제된 지문과 대조할 지문을 비교 하여 동일한 특징점을 찾아 감정하는 것입니다.

4. 날인선후
날인 선.후 감정은 아래 이미지와 같이 기재 또는 출력된 문자 위에 인영 또는 무인이 날인되었는지 백지에 날인된 인영 또는 무인 위에 기재되거나 출력된 문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시간적 사실 여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5. 작성년도
작성년도 감정의 경우 작성된 시점을 기준하여 감정을 하는 것으로 이는 추정감정으로 오차와 편차를 가지고 있으나 최근에 작성되었는지 기재년도 경에 작성되었는지 추정하여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6. 워드문자 감정
최근 워드문자 감정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예전에 직접 기재하였던 문서들을 출력하여 쓰게 되면서 추가 삽입하거나 사본을 원본으로 속이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
7. 위.변조 및 필기구 감정
정상적인 문서 상에 기재된 필적을 임의 조작하거나 삭제하는 경우 또는 덧칠하거나 추가 삽입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
의심되는 부분이 있으면 일단 위.변조 부분이 있는지 확인해 보는 방법도 좋겠습니다.




8. 지문현출
문서 상 남아있는 지문 현출 방법으로 문서를 약품에 침지하여 지문을 현출시키는 작업 또는 대조할 지문이 있을 경우 대조하는 감정 방법 중 하나입니다.